해운

벌크선 화물량 측정의 핵심, 드래프트 서베이(Draft Survey)의 모든 것

moonliteaurora 2025. 8. 7. 11:22

드래프트 서베이란 무엇인가요?

벌크선(Bulk Carrier)은 철광석, 석탄, 곡물 등 다양한 산적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입니다. 이처럼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화물을 선적하거나 양하할 때, 정확한 화물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드래프트 서베이(Draft Survey)입니다.

드래프트 서베이는 선박이 바다 위에 얼마나 잠겼는지를 나타내는 흘수(draft)를 측정하여, 선박의 배수량 변화를 바탕으로 선적 또는 양하된 화물의 중량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즉, 화물이 선박에 실리거나 내려졌을 때 선박의 흘수 변화에 따라 선박의 총 중량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계산하고, 그 차이만큼을 화물의 무게로 간주합니다.

이 방식은 화물의 개수나 부피를 직접 계측하기 어려운 벌크 화물의 특성상 매우 실용적이며, 국제적으로도 널리 인정받는 측정 방식입니다. 특히 정박지에서 하역 설비가 제한된 항만에서는 드래프트 서베이가 주요 화물 계량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벌크선의 드래프트 써베이
Draft를 측정하는 3등항해사

 

드래프트 서베이의 기본 원리와 계산 방식

 

드래프트 서베이는 먼저 선박의 흘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흘수는 선체 양현 전·중·후방 6개 지점(포트 포워드, 포트 미드쉽, 포트 애프트 / 스타보드 포워드, 스타보드 미드쉽, 스타보드 애프트)에서 측정되며, 이 값들을 평균하여 선박이 수면 아래로 얼마나 잠겼는지를 산출합니다. 이 평균 흘수는 선박이 얼마만큼의 물을 밀어내는지, 즉 배수량(displacement)을 판단하는 기초가 됩니다.

다음으로는 선박의 드래프트 테이블(Draft Table) 또는 디스플레이스먼트 테이블을 사용하여 평균 흘수에 따른 배수량을 확인합니다. 이때, 선박이 실질적으로 물에 잠긴 부피를 고려하여 정수압 보정(Hydrostatic Correction)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선박의 변형(트림, 힐 등)과 관련된 보정이기도 합니다.

그 후에는 선박의 공적재상태(lightweight) 및 적재상태(loaded condition)를 비교함으로써 총 중량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선박 내 보유하고 있는 연료, 윤활유, 식수, 밸러스트 등의 무게를 차감하여 실질적인 화물의 순중량(Net Cargo Weight)을 도출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산술 계산이 아닌 선박의 설계 데이터, 유체역학 원리, 조선공학적 이해가 함께 어우러져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드래프트 서베이의 절차: 실제 수행 단계

드래프트 서베이는 일반적으로 두 차례 진행됩니다. 화물을 선적하거나 양하하기 전 상태인 Initial Survey와, 작업이 끝난 후의 Final Survey입니다. 각각의 단계에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흘수 측정과 선박 상태 기록이 이루어지며, 이를 비교하여 화물량이 결정됩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흘수 측정(Draft Reading): 선박 측면의 흘수 눈금을 기준으로 6지점에서 측정.
  2. 트림 및 리스트 보정: 선박이 앞뒤 또는 좌우로 기울어진 상태일 경우 이를 수학적으로 보정.
  3. 수온 및 비중 측정: 선박이 떠 있는 바닷물의 비중(Specific Gravity)을 측정하여 계산의 정확도를 높임.
  4. 디스플레이스먼트 계산: 평균 흘수를 바탕으로 드래프트 테이블에서 배수량을 산출.
  5. 탱크 내 액체 측정: 연료유, 식수, 밸러스트수 등의 무게를 계측.
  6. 순화물량 산출(Net Cargo Weight): Final – Initial 배수량 차에서 위 항목들을 차감하여 실제 화물 중량 도출.

이 과정은 선박에 승선한 Deck Officer나 전문 Draft Surveyor가 담당하며, 경우에 따라 화주와 선주, 포워더 측의 입회 하에 공동으로 시행되기도 합니다.

 

드래프트 서베이의 한계와 주의사항

드래프트 서베이는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식이지만,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매우 섬세한 측정과 수치 해석이 요구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오차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파랑과 조류: 흘수 측정 시 해면이 흔들리는 경우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지며, 특히 항만이 아닌 정박지에서는 그 영향이 더 큽니다.
  • 흘수 눈금의 마모: 선박 측면의 흘수 마크가 침식되거나 손상된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선체 변형: 선박이 양하나 선적으로 인해 휘어진 경우, 평균 흘수가 실제 선박 배수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해수의 비중 변화: 해수 온도나 염도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며, 이는 드래프트 테이블 상의 표준값과 차이가 나므로 이를 수시로 측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일부 선사는 전자식 흘수계(Digital Draft Gauge)나 선박 안정성 프로그램(Loading Computer Software)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수기 측정과 기록이 병행되며, 숙련된 항해사의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드래프트 서베이의 실무적 활용과 국제 기준

드래프트 서베이는 선적항과 양하항 모두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는 선박 간 계약, 선하증권(B/L) 기재, 보험, 세관 신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준 자료로 활용됩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드래프트 서베이 결과를 공인 무게 증빙 자료로 인정하여, 법적 분쟁 시 중요한 증거로 채택되기도 합니다.

또한, 국제해사기구(IMO)의 SOLAS 규정 및 ISO 7566, UN ECE의 계량 기준 등에서도 드래프트 서베이 방법에 대한 권고사항과 표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무역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현대 해운산업에서 드래프트 서베이는 단순한 계량 수단을 넘어, 신뢰와 정산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항만 작업자, 항해사, 해운중개사, 화주, 선주 모두에게 이 절차의 이해는 필수적인 지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